![](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133fa80b-35af-4034-935b-c1beb1683a62.jpeg)
안녕하세요. 저는 자취방이자 작업실을 스튜디오처럼 꾸며 공간 대여를 하고 있는 호스트 studi0__hokkai_d0입니다.
지금의 집을 꾸미기 전에는 드라마 로케이션 매니저와 프로듀서 일을 병행하며, 2,400여 곳의 촬영 장소를 직접 섭외하는 일을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만났던 다양한 공간들을 통해 ‘나만의 공간’을 만들어보고 싶어졌고, 그 마음으로 집 꾸미기에 도전해 지금의 공간을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집 정보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d598c38d-2c70-4559-a92c-59972d17e80e.jpeg)
| 원룸 9평
| 레트로, 홍콩 스타일
| 공간감 정의를 위한 밀도 형성하기
| 약 100만 원 소요
우리 집의 추천 가구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9d3fd8b4-b206-4718-985c-9f98ce3496ab.jpeg)
제가 추천하고 싶은 아이템은 [포홈 -체스터 빈티지 2인 소파]입니다. 저희 집의 분위기를 완성해 주는 가구이기도 한데요.
이 소파는 진한 갈색 인조가죽으로 풍성한 볼륨을 살리고, 너무 올드하지도, 너무 세련되지도 않는 중간의 감도로 디자인되었다고 느껴졌어요. 그래서 어느 분위기의 공간에 두어도 참 잘 붙는 소파라고 생각했습니다. 혹시 저와 같은 취향을 가지셨다면 추천드리고 싶어요.
공간 둘러보기
| 거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77b3e46a-acc3-4753-b900-8733d3d78f7e.jpeg)
그럼 지금부터 거실을 소개해 드릴게요. 체커보드 러그가 깔린 공간입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e99b2d36-ba78-434c-83aa-e4bdb18cc5ae.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943959a1-e6ba-438d-9738-7f2f112b0a59.jpeg)
거실은 제 취향과 개성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공간으로 꾸몄습니다. 가장 눈에 띄는 자리에 둔 철제 렉 선반에는 다양한 소품과 책들을 배치해 포인트를 주었고, 강렬한 색감의 커튼과 러그를 활용해 시선을 사로잡는 분위기를 연출하려고 했습니다. 특히 커튼을 더하고 나니 공간 전체가 한층 생동감 있게 바뀌더라고요.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4025b841-1b55-423b-91fb-412b9f23f39b.jpeg)
저희 집 천장에는 가스 배관이 드러나있었는데, 이 요소를 독특하게 살려보았습니다. 빨랫줄을 달아 지금까지 직접 그린 그림을 빨래처럼 달아둔 건데요. 이렇게 하니 가스 배관에 시선이 가지 않고, 오히려 작업실 같은 분위기가 나서 좋았습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5ed25905-0fa5-44ce-838c-4434b082c136.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2b54c9eb-6b38-4ccd-955d-c871a887b1f9.jpeg)
렉 선반과 책상은 지금까지 모아온 명함, 수집품, 여행에서 가져온 기념품, 책을 전시해둔 공간입니다. 다양한 물건 중에도 골동품 상점에서 구한 브라운관 TV를 개조해서 만든 어항은 눈에 잘 띄기도 하고, 개성 있는 포인트가 되어 애정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 주방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3d9804ab-810a-4cbc-997c-6e43ef7bc947.jpeg)
다음으로 주방을 소개해 드릴게요.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1322052e-6d2b-4f10-8ea1-8fcc412c4f98.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a4032cc5-0af0-4fad-9224-550f695370c8.jpeg)
저희 집 주방은 흔한 원룸이나 자취방에서 늘 보이는 것처럼 흰색 수납장과 타일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게 전체적인 인테리어의 통일성을 깨고 다른 공간의 분위기와 맞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주방을 꾸밀 땐 이런 이질감을 어떻게 지우고 조화롭게 채울지를 가장 고민했습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1206e06a-70cc-47b4-9d00-2ea0ddf3f093.jpeg)
주방을 자세히 보시면 문 대신 행주가 달린 수납장이 보여요. 수납장이 나란히 이어져 갑갑해 보이는 것보다는, 중간에 패브릭으로 빈티지한 분위기를 주면 어떨까 하고 시도해 보았는데 정말 마음에 듭니다. 가장 좋은 점은 수납장 안의 알록달록한 소품이 눈에 잘 띈다는 거예요.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4a84eb52-1033-4361-b161-04a180b558c6.jpeg)
또 왼편의 가스관에서 오른편의 식기건조대까지 이어지는 벽면도 효율적으로 활용하려고 했는데요. 단순한 수납을 넘어 특별한 느낌을 주기 위해 건설 현장이나 물류 현장에서 자주 사용하는 라쳇바를 사용해 조리도구들을 걸어두었습니다. 덕분에 공간에 개성이 생긴 것 같아 마음에 들어요.
| 침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1e184707-ebcb-4f9a-bdb8-77e3ec74f425.jpeg)
집을 꾸미며 곳곳에 여러 소품을 밀도감 있게 채우다 보니 시각적으로 피로감이 생기더라고요. 그래서 침실만큼은 저희 집에서 가장 여백이 있고, 밀도를 낮춘 공간으로 꾸며보았습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0a23301f-099f-4a26-9b90-c6d88f5086af.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eb773bb1-70d2-4162-8f6a-17cdb06f4af0.jpeg)
맥시멀한 스타일을 고수하는 공간은 아니었지만, 공간의 전체적인 느낌과 취향은 그대로 유지하려고 했는데요. 영화 포스터, 직접 그린 그림을 활용하여 최소한으로만 스타일링했습니다. 영웅본색 포스터까지 있으니 정말 그 시절 홍콩 분위기가 납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67b8d382-4f44-4ad5-b4b2-2f069743491f.jpeg)
침대 옆 협탁에는 스탠드 조명과 레트로 시계를 두었습니다. 모두 초록빛을 띄어서 공간에 빈티지한 느낌을 더해주는 것 같습니다.
| 드레스룸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5a9f74bc-10f1-424e-a745-ec6dc9bd30e9.jpeg)
이곳은 저희 집의 드레스룸입니다. 집을 꾸미다 보니 레트로-홍콩 스타일을 너무 강조하면 오히려 전체적인 컨셉이 깨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그래서 약간의 변화를 시도해 보기로 했습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a0295f4c-bff3-4d9f-913c-63494e0aa625.jpeg)
저희 집엔 옷장을 두면 공간이 답답해 보일 것 같아서 행거를 선택했는데요. 옷을 걸어두는 공간에 음식 냄새가 스며드는 것을 막고, 동시에 옷에서 나는 먼지를 차단하기 위해 행거 앞으로 패브릭 커튼을 달아주었습니다. 패브릭 커튼은 스위스 알프스산맥 이미지로 골랐는데 방 안에 자연경관을 두는 듯한 느낌이 나서, 이 오묘한 조합이 공간과 참 잘 어울리더라고요. 지금까지도 좋아하는 인테리어 포인트 중 하나입니다.
| 현관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720ff4eb-d523-4269-b2b6-8f46dcd6e20f.jpeg)
마지막으로 소개해 드릴 공간은 현관입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47581694-53bc-44c2-88f6-8109ac282ed8.jpeg)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1e14c608-fdba-444b-8787-0417c256f883.jpeg)
현관은 집의 첫인상인 만큼 다른 공간과 같은 콘셉트로 꾸미고 싶었는데, 빈티지 스타일과 기존의 하얀색 신발장과 흰 벽이 집 안의 분위기와 잘 이어지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꼭꼬핀을 활용하여 무늬가 있는 커튼을 달아주었습니다. 덕분에 밋밋했던 공간에 생동감이 생겼어요. 또 밋밋했던 신발장 문에는 인도 여행을 다녀온 누나가 선물한 그림과 다양한 에코백, 청소도구를 걸어두었습니다.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87b15fda-751c-4a13-9bee-80c838501abb.jpeg)
여긴 신발장의 위쪽입니다. 자주 사용하는 인센스와 다양한 비품들을 배치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했는데요. 이 작은 디테일들이 소품샵처럼 공간을 더 개성 있게 보여줄 수 있기를 바라며 꾸몄습니다.
마치며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78aadc1a-bb2d-4b3b-9e57-6e9323848767.jpeg)
지금까지 저희 집의 곳곳을 소개해 드렸는데 모두 재미있게 보셨을까요? 제 취향과 경험을 가득 담아 꾸민 만큼, 이 공간이 여러분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제게 집이란 ‘가장 나다운 곳’입니다. 소중한 추억이 깃든 물건들은 그 자체로 사람의 감성을 채우고 공간에 특별한 의미를 주니까요. 어릴 적 소중히 여긴 장난감이나 친구가 선물한 필기구에 그 시절의 기억과 감정이 고스란히 녹아 현재의 나를 구성하는 것처럼, 오랜 물건이 만들어내는 밀도와 색감은 공간을 삶의 이야기와 정서가 담긴 특별한 곳으로 변화시키는 것 같습니다.
그럼 지금까지 저희 집의 집들이와 제 오랜 이야기를 함께 읽어주신 여러분께 감사인사를 드립니다. 모두 좋은 연말 보내시길 바라겠습니다!
인테리어에 관한 더 많은 콘텐츠를
구경하고 싶다면 놀러오세요!
![](https://contents-cdn.viewus.co.kr/image/2024/12/CP-2023-0010/image-595e1c98-d772-431e-b35a-b8255ee92a22.jpeg)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