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메뉴 바로가기 (상단) 본문 컨텐츠 바로가기 주요 메뉴 바로가기 (하단)

동치미 힘들게 담그지 마세요…방법만 알면 만들기 쉽습니다

위키푸디 조회수  

동치미 자료사진. / Taebol-shutterstock.com

동치미 자료사진. / Taebol-shutterstock.com
동치미 자료사진. / Taebol-shutterstock.com

동치미는 그 시원하고 달콤한 맛으로 예로부터 한국에서 사랑받아온 인기 있는 음식이다. 하지만 동치미의 진짜 매력은 맛만이 아니다. 바로 소화에 도움이 되는 성분들이 풍부하게 들어 있다는 점이다.

동치미의 주요 재료인 무는 소화 불량에 큰 도움이 되는 효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 효소는 디아스타아제라고 불리며, 음식 소화를 돕고 소화불량을 개선하는 데 유용하다. 게다가 무에 포함된 섬유소는 장 내의 노폐물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동치미의 소화 촉진 효과, 한의학에서도 인정받아

동치미 자료사진. / Light Win-shutterstock.com
동치미 자료사진. / Light Win-shutterstock.com

동치미의 효능은 한의학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명한 한의학 명저인 ‘본초강목’에서는 무가 소화를 촉진하고 몸의 독소를 배출하는 데 효과적이라고 소개된다. 

무는 몸을 가볍게 해주고, 설사를 다스리며 해독 작용을 하는 재료로 알려져 있다. 이를 통해 동치미는 단순한 반찬 이상의 역할을 한다. 몸속 불편한 속을 편안하게 해주는 데 이만한 음식도 드물다.

동치미의 발효 과정, 장 기능에도 중요한 역할

동치미의 발효 과정에서 생성되는 유기산은 장에서 소화를 돕고,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하여 장 기능을 지원한다.

동치미 국물에 존재하는 미생물들이 증식하면서 산도가 높아지는데, 이는 소화에 도움을 준다. 또한 동치미에 들어가는 양념, 파, 고추, 마늘, 생강 등은 녹말 분해 효소를 촉진해 소화를 돕고, 동치미의 산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과유불급, 동치미도 적당히 먹어야 한다

동치미가 소화에 좋은 음식으로 알려졌지만, 과도하게 섭취하면 문제가 될 수 있다. 특히 동치미는 나트륨 함량이 높아 과다 섭취 시 고혈압이나 심부전, 지방간 등이 있는 사람에게 좋지 않다.

따라서 건강을 생각한다면 적당한 양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적절히 먹으면 건강을 돕는 동치미, 과유불급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동치미 담그는법 레시피

동치미 자료사진. / Yuuuuul-shutterstock.com
동치미 자료사진. / Yuuuuul-shutterstock.com

요리 재료

– 무 1개 (중간 크기)

– 배 1개

– 파 1대

– 마늘 3쪽

– 생강 약간 (1 작은술 정도)

– 소금 3큰술

– 설탕 1큰술

– 물 1.5리터 (1500ml)

만드는 법

1. 무는 껍질을 벗기고 길게 썬 후, 나박썰기 한다.

2. 배는 껍질을 벗기고 씨를 제거한 후, 무와 비슷한 크기로 썬다.

3. 파는 4~5cm 길이로 자르고, 마늘과 생강은 편으로 썬다.

4. 큰 볼에 무, 배, 파, 마늘, 생강을 넣고 소금을 넣어 잘 버무린다.

5. 버무린 재료에 설탕을 넣고 다시 섞어 준다.

6. 물을 냄비에 붓고 끓인 후, 끓기 시작하면 불을 끄고 식힌다.

7. 식힌 물을 재료 위에 부어준다.

8. 전체가 잘 섞이도록 가볍게 저은 뒤, 냉장고에 2~3일 정도 숙성시킨다.

9. 숙성된 동치미는 국물까지 시원하고 맛있게 즐길 수 있다.

관련기사

author-img
위키푸디
content@view.mk.co.kr

[여행맛집] 랭킹 뉴스

  • 설탕보다 200배 달기도… 한번 맛보면 설탕 버리게 되는 감미료 6종
  • 나무껍질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귀한 자연산 '버섯'의 정체
  • 제철 달래 '이 음식'에 넣어보세요… 집 나간 입 맛이 돌아옵니다
  • "1초에 3잔씩 팔려…" 출시 2주 만에 200만 잔 돌파한 스타벅스 음료의 정체
  • '생방송 투데이' 갈치조림 맛집 위치
  • 물병 '이렇게' 씻으면 세균 그대로… 제대로 세척하는 법 7가지

당신을 위한 인기글

  • “그래 이게 진짜 벤츠지” 전성기 시절 ‘각벤츠’ 부활하나?
    “그래 이게 진짜 벤츠지” 전성기 시절 ‘각벤츠’ 부활하나?
  • “2천만원대 아반떼급 전기차 출시” EV4 예비오너들 계약 취소 고민 깊어진다!
    “2천만원대 아반떼급 전기차 출시” EV4 예비오너들 계약 취소 고민 깊어진다!
  • “가장 이상적인 7인승 SUV” 2열 독립 시트의 디펜더 130, 디펜더 110과 어떻게 다른가
    “가장 이상적인 7인승 SUV” 2열 독립 시트의 디펜더 130, 디펜더 110과 어떻게 다른가
  • “대리 운전 못 믿겠네” 출소한 지 두 달만에 승객 성폭행한 대리기사
    “대리 운전 못 믿겠네” 출소한 지 두 달만에 승객 성폭행한 대리기사
  • “BYD 기술력이 이정도라고?” 5분 충전에 400km 가는 1000W 초급속 충전 공개!
    “BYD 기술력이 이정도라고?” 5분 충전에 400km 가는 1000W 초급속 충전 공개!
  • “싼타페 오너들 땅 치고 후회” 실내 공간 더 넓은 준대형 SUV 등장
    “싼타페 오너들 땅 치고 후회” 실내 공간 더 넓은 준대형 SUV 등장
  • “디자인 때문에 다 팔렸나” 볼보 EX30, 물량 싹 털어냈다
    “디자인 때문에 다 팔렸나” 볼보 EX30, 물량 싹 털어냈다
  • 잘 나가더니 결국.. 역대급 결함 터진 ‘아이오닉 5 N’ 충격의 근황
    잘 나가더니 결국.. 역대급 결함 터진 ‘아이오닉 5 N’ 충격의 근황

당신을 위한 인기글

  • “그래 이게 진짜 벤츠지” 전성기 시절 ‘각벤츠’ 부활하나?
    “그래 이게 진짜 벤츠지” 전성기 시절 ‘각벤츠’ 부활하나?
  • “2천만원대 아반떼급 전기차 출시” EV4 예비오너들 계약 취소 고민 깊어진다!
    “2천만원대 아반떼급 전기차 출시” EV4 예비오너들 계약 취소 고민 깊어진다!
  • “가장 이상적인 7인승 SUV” 2열 독립 시트의 디펜더 130, 디펜더 110과 어떻게 다른가
    “가장 이상적인 7인승 SUV” 2열 독립 시트의 디펜더 130, 디펜더 110과 어떻게 다른가
  • “대리 운전 못 믿겠네” 출소한 지 두 달만에 승객 성폭행한 대리기사
    “대리 운전 못 믿겠네” 출소한 지 두 달만에 승객 성폭행한 대리기사
  • “BYD 기술력이 이정도라고?” 5분 충전에 400km 가는 1000W 초급속 충전 공개!
    “BYD 기술력이 이정도라고?” 5분 충전에 400km 가는 1000W 초급속 충전 공개!
  • “싼타페 오너들 땅 치고 후회” 실내 공간 더 넓은 준대형 SUV 등장
    “싼타페 오너들 땅 치고 후회” 실내 공간 더 넓은 준대형 SUV 등장
  • “디자인 때문에 다 팔렸나” 볼보 EX30, 물량 싹 털어냈다
    “디자인 때문에 다 팔렸나” 볼보 EX30, 물량 싹 털어냈다
  • 잘 나가더니 결국.. 역대급 결함 터진 ‘아이오닉 5 N’ 충격의 근황
    잘 나가더니 결국.. 역대급 결함 터진 ‘아이오닉 5 N’ 충격의 근황

추천 뉴스

  • 1
    ‘폭싹 속았수다’로 소환된 강하늘의 황용식 “역시 임상춘 작가”

    연예 

  • 2
    [오늘 뭘 볼까] 베트남판 ‘파묘’…영화 ‘악령: 깨어난 시체’

    연예 

  • 3
    포멜라토,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에서 특별한 주얼리 팝업 오픈

    라이프 

  • 4
    옥상에 있는 댕댕이한테 집 열쇠 좀 달라했더니 벌어진 일

    라이프 

  • 5
    애견 유치원에 새로운 전학견이 오자 벌어진 일

    라이프 

지금 뜨는 뉴스

  • 1
    20살 할머니 냥이의 고생스러운 노후..'시력 감퇴'로 교통사고 위기

    라이프 

  • 2
    봄 산행, 제대로 즐기려면 '이것'만큼은 챙겨야 한다

    라이프 

  • 3
    '너희라도 살아...' 불난 주택에서 새끼들 위해 희생한 어미견

    라이프 

  • 4
    캐스팅 논란 ‘백설공주’, ‘인어공주’와 다를까

    연예 

  • 5
    '딸깍' 참치캔 따는 소리에 고양이가 보인 반응

    라이프 

공유하기

0

뷰어스 입점 신청

adsupport@fastviewkorea.com